시각/정보디자인 (29) 썸네일형 리스트형 손 끝의 예술: 론 뮤익의 예술 세계 왜 지금 ‘손끝의 예술’에 더 관심이 가는 걸까. 요즘은 클릭 몇 번, 터치 몇 번으로 원하는 것을 생성해내거나 만들 수 있는 ‘쉽고 빠른’시대다. 인공지능은 예술의 영역에까지 깊숙이 들어와 내가 원하는 이미지를 순식간에 생성하고 손쉽게 수정도 해준다. 이러한 기술은 놀라울 만큼 편리하지만 작업이 단순해질수록 그 가치는 쉽게 희미해지고 완성도 역시 가벼워지기 마련이다. 반응이 빠르고 원하는 대로 수정이 쉬워 이미지를 무한대로 다양하게 생성할 수 있지만 누구나 만들고 변형할 수 있어 결국 하나의 재미와 흥미 요소에 지나지 않는다.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해서 만든 이미지. 왼쪽은 디즈니 화풍, 오른쪽은 지브리 화풍으로 담아낸 이미지이다. 재미있는 것은 같은 사진인데도 요청할 때마다 약간의 변.. 모노타입이 선정한 2025년 폰트 트렌드 “개인화부터 넷제로까지” 글로벌 폰트 및 폰트 기술 전문 기업 모노타입(Monotype)이 2025년 폰트 트렌드 보고서를 공식 발표했다. 모노타입의 폰트 트렌드 보고서는 매년 디자이너와 브랜드 마케터들에게 필수적인 자료로 자리 잡았다. 현재 모노타입 폰트 트렌드 보고서는 디자인 커뮤니티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주요 브랜드 및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들이 참고하는 주요 리소스다. 특히 올해 보고서는 한글 번역본이 영어 원문과 동시에 공개돼 한국의 디자인 및 브랜드 전문가들에게도 보다 신속하고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폰트가 디자인과 브랜드 경험의 중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하며, 더욱 심도 있는 통찰과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한다. 또한 올해 보고서는 과거 트렌드 보고서들과 비교해 타이포그래피가 인공지능.. 모두를 위한 포용적 미술관: 디자인을 통한 포용성(Inclusive through design) 오늘날 현대 사회는 환경, 경제, 사회적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그로 인해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지속가능성은 단순히 환경 보호를 넘어 미래 세대와 조화를 이루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어가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이러한 변화 속에서 미술관과 박물관은 단순히 예술과 역사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공간을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과 실천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환경 보호, 자원 절약, 재생 가능 에너지 등 지속가능성과 연관된 주제를 다룬 교육 프로그램과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문제 의식을 환기시키고 공감을 이끌어낸다. 모두를 위한 포용적 미술관공공성을 지닌 공간은 사회 구성원 누구에게나 열려 있으며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여야 한다. 특히 배리어프리 설.. 카세트테이프를 엮어, 리하이픈rehyphen® 리하이픈rehyphen®의 ‘음악섬유MusicCloth’ / 사진@rehyphen® 1963년도에 음악 시장에 처음 소개된 카세트테이프는 한 때, 음악을 나르는 매체로 사랑받았다. 자기 테이프가 빠르게 돌아가며 앞면으로 음반을 재생하는 동안, 뒷면에는 듣는 이의 추억이 자동 저장됐다. 바야흐로, 시디를 거쳐, 스트리밍 시대가 되고, 일상의 모든 순간을 음악과 함께할 수 있게 됐지만, 카세트테이프를 생산하면서 발생한 5천6백만 킬로그램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남게 됐다. 이것은 위기일까? 기회일까? 싱가포르의 국가수반들이 모인 환경 정책 회의에서 소개된 리하이픈. ‘음악섬유’로 만든 옷을 입고, 리하이픈과 디즈니사의 협업으로 만든 클러치백을 든 ‘에이미 콜, 싱가포르 국무부 환경수자원부 수석장관’은 환.. [Dezeen] 혼다, “역사적 변혁”을 위한 새로운 로고 공개 * 본 문서는 ChatGPT와 DeepL 번역기를 활용하여 번역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문맥이나 표현이 원문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자동차 브랜드 혼다가 미래 전기차를 위해 재설계된 H 로고를 공개했다. 이는 1980년대 이후 처음으로 이루어진 로고의 주요 업데이트다.새롭게 디자인된 H 로고는 혼다의 새로운 0 시리즈에서 2026년 생산 예정인 세단과 SUV를 포함한 미래 전기차에 적용될 예정이다.혼다는 "차세대 전기차 출시를 기념해 회사의 역사적 변혁에 대한 결의와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과 발전을 추구하는 능력을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H 로고를 디자인했다"고 밝혔다. 혼다가 차세대 전기차 라인을 위한 새로운 로고를 공개했다. 혼다는 기존에 H를 둘러싸고 있던 얇은 .. [ 태국 일러스트 페어 ] ‘방콕 일러스트레이션 페어 2024(Bangkok Illustration Fair 2024)'의 후기 방콕 일러스트레이션 페어 2024(Bangkok Illustration Fair 2024, 이하 BKKIF 2024)는 다양한 세대와 여러 국적의 예술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소개하고 교류하는 대규모 연례 행사입니다. 이 페어의 주요 목적은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업을 선보이고 토론하며 경험을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의 전문 지식과 기회를 확장하고 일반 대중이 예술과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bangkokIllustrationFair.com 올해 BKKIF 2024에는 총 161명의 아티스트가 참여하였으며 이 중 11명의 게스트 아티스트가 흥미로운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핀란드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 '마리카 마이얄라' 마리카 마이얄라의 하라카 섬 작업실에서 자신의 그림책에 직접 사인을 하고있다. (사진: 서정애) 어른이 되어도 동심을 잃지 않고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것일까? 동화에 나올 것 같은 아름다운 섬에서 생활하며, 그림책을 그려가는 작가 마리카 마이얄라와 이야기하면서 이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핀란드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시각 예술가인 마리카 마이얄라는 헬싱키의 수오멘리나 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살며, 그 옆에 있는 작은 섬, 하라카에 있는 예술가 공동체의 건물에서 작업하고 있다. 그는 20여 년 동안 50권 이상의 책 작업에 참여했으며, 국가에서 수여하는 시각 예술상과 루돌프 코이부 상을 두 차례 수상한 핀란드의 대표적인 아동 작가이기도 하다.*루돌프 코이부 상은 핀란드에서 가장 권위 있는 아동.. 키오스크 공통 UI 가이드 보고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 키오스크 공통 UI 가이드 보고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 키오스크 접근성에 대한 기준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책임을 가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가 작년에 발표한 키오스크 공통 UI 가이드 보고서입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 접근성을 혁신하기 위해 2024년 키오스크 공통 UI 가이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가이드는 사용자 경험(UX)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며, 특히 장애인과 고령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를 포괄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보고서는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주요 환경과 유형(유통형, 주문형, 발권형, 안내형)을 다루며, 각 유형별로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 필요한 기본 원칙과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이전 1 2 3 4 다음